홈으로 화성관광안내 문화유적지

문화유적지

융ㆍ건릉
  • 융ㆍ건릉
  • ㆍ위치 : 화성시 효행로 481번길 21
  • ㆍ문의 : 관리사무소 : 031-222-0142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2월~5월, 9월~10월 6월~8월 11월~1월
      매표시간 관람시간 매표시간 관람시간 매표시간 관람시간
      09:00 ~ 17:00 09:00 ~ 18:00 09:00 ~ 17:30 09:00 ~ 18:30 09:00 ~ 16:30 09:00 ~ 17:30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관람소요시간 : 1시간

      대상 개인 단체(10인 이상)
      만19세 ~ 64세 1,000원 800원

      ♧ 대중교통 : ① 북문, 남문, 수원역 : 24, 46, 46-1번 버스(40분 소요) ② 신영통, 영통, 봉담 : 34, 34-1번 버스(30분 소요)
  • <관광지 특성>
    • - 융릉 : 훗날 장조로 추존된 장헌세자와 그의 비 헌경의황후 혜경궁 홍씨의 합장릉
      - 건릉 : 정조와 효의왕후의 합장릉
      - 사적 제206호
  • <행사 및 프로그램>
    • - 융릉의 제향 - 매년 4월 둘째 일요일
      - 건릉의 제향 - 매년 5월 둘째 일요일
      - 건릉 어가 행렬 - 5월 둘째 일요일


금산사
  • 금산사
  • ㆍ위치 : 화성시 팔탄면 창곡리 산14
  • ㆍ문의 : 화성시 문화예술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644 / 화성문화원 : 031-353-633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사당은 정면 6.5m, 측면 3.75m의 굴도리집으로 원주형의 목주가 세워져 있으며, 팔각지붕에 한식기와를 얹은 겹처마 건물이다.
      ‘금산사’란 편액이 달린 솟을삼문은 맞배지붕에 한식기와를 얹은 홑처마집으로 정면 5.87m 측면 2.20m이다.
  • <관광지 특성>
    • - 1912년 김해 김씨들이 선조인 신라의 명장 김유신의 위업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우
      - 향토유적 제7호
  • <행사 및 프로그램>
    • 제향 - 연2회 봄·가을을 길일을 택하여 지냄.


용주사
  • 용주사
  • ㆍ위치 : 화성시 송산동 188
  • ㆍ문의 : 용주사 사무실 : 031-234-0040 / 템플 : 031-235-6886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용주사 문화재구역 입장료
      개인
      Individual
      어른 Adult \1,500
      청소년 Teenager \1,000
      어린이 Child \700
      단체
      Group
      어른 Adult \1,300
      청소년 Teenager \800
      어린이 Child \500

      - 용주사 템플스테이 : - 개인참가자 : 매주 토요일 오후 2시(1박2일) / - 단체참가자 : 10인 이상 단체는 수시 가능
      ♧ 대중교통 : 수원역:용주사행 24번, 24-1번, 46번, 46-1번 버스(06:00~22:00, 15분 간격) 
  • <관광지 특성>
    • 본래 신라 문성왕때 창건되었으나 병자호란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가,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원찰로 삼음.
      용주사범종(국보제120호), 대웅보전, 대웅전불탱화 등을 보유
  • <행사 및 프로그램>
    • 템플스테이, 용주사효행박물관, 역사문화탐방교실, 정기법회, 청소년법회 순례 등


만의사
  • 만의사
  • ㆍ위치 : 화성시 동탄면 중리 140 (무봉산에 있음)
  • ㆍ문의 : 031-376-6005, 6624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만의사의 경내: 삼층석탑과 사리탑, 석조지장보살입상, 일주문 옆에 세워져 있는 만의사사적비와 중창공덕비 등의 석조물들 현재 정면 3칸의 대웅전과 산신각·요사채 등이 남아 있음
      - 만의사 종: 1796년 수원성곽이 중수되자 팔달문에 만의사의 종을 옮겨 달았는데 이 종은 1080년에 주조된 뒤 1687년에 만의사 주지 성운이 무게 700근으로 개주한 것
      - 조왕국: 만의사에 불공드린 스님과 신도들 무료급식소 식당
  • <관광지 특성>
    • - 용주사의 말사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함
      이 절이 천태종(天台宗) 사찰로서 면모를 갖춘 것은 천태종 진구사(珍丘寺)의 주지였던 혼기(混其)가 1313년(충선왕 5)에 이 절로 옮겨와서 크게 중창하고 법화도량(法華道場)을 연 뒤부터임


봉림사
  • 봉림사
  • ㆍ위치 : 화성시 북양동 642 / 무봉산에 있는 사찰 (수원에서 대부도와 제부도로 가는 도로 중간)
  • ㆍ문의 : 031-356-9117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2643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매월 첫째주 수요 반야법회
      ㆍ일 시 : 매월 첫째주 수요일 저녁 7시
      ㆍ장 소 : 봉림사 설법전

      현존 건물로는 대웅전과 봉향각·망양루·범종각·요사채 등이 있고, 유물로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제980호)과 탱화 여러 점이 전한다.
      봉림사 대웅전은 조선시대 후기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다포식 건물이다. 내부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아미타여래상을 주존불로 좌우에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예전에는 ‘ㄴ"자 형식의 전통건물이었던 요사채는 1979년 보수를 하여 설법전과 고화실로 사용하고 있다.
      설법전에는 본존물이 모셔져 있으며 우측에는 신중탱화가 좌측에는 오래되지 않은 신중탱화가 걸려 있다.
  • <관광지 특성>
    • - 용주사의 말사
      신라 진덕여왕 때(재위 647∼654) 고구려의 침략을 불교의 힘으로 막기 위해 창건한 호국사찰 당시 궁궐에서 기르던 새가 절 주위 숲에 날아와 춤을 추었으므로 봉림사라 하고, 산 이름도 무봉산으로 바꿨다고 함
  • <행사 및 프로그램>
    • 매월 첫째주 수요 반야법회


남양성모성지
  • 남양성모성지
  • ㆍ위치 : 화성시 남양동 1704
  • ㆍ문의 : 031-356-588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미사 :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11시 (월요일은 사무실에 확인해야)
      - 고해성사 : 매주 목요일 10시~15시30분 (미사 후 성체강복)
  • <관광지 특성>
    • 병인년 대박해 때 이름 없이 치명하신 많은 순교자들을 현양하는 순교성지이며, 한국천주교회 최초로 성모성지로 공식 선포된 곳
  • <행사 및 프로그램>
    • - 월요일을 제외한 매일11시 미사, 성지순례, 고해성사 등
      - 초봉헌실, 20단 묵주기도의 길, 성서에 따른 십자가의 길 등이 있음


홍난파선생 생가
  • 홍난파선생 생가
  • ㆍ위치 : 화성시 활초동 283-1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2643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홍난파선생 가옥은 서울에 위치함.
      - 서울 종로구 송월1길 38, 2-46 (홍파동)
  • <관광지 특성>
    • -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혼을 달래주었던 작곡가 겸 바이올리니스트 홍난파 선생이 태어난 곳
      - 대표작♪ - 봉선화, 고향의 봄, 성불사의 밤, 달마중, 낮에 나온 반달 등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기념관)
  • 제암리 3.1운동 순국유적(기념관)
  • ㆍ위치 : 화성시 향남읍 제암길 50
  • ㆍ문의 : 031-369-1663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이용시간 : 년중 : ( 1월~12월 ) 09:00 ~ 18:00 / 정기휴관일 : 1월 1일, 설날, 추석날, 매주 월요일
      - 전시관 : 제1전시관(제암리관), 제2전시관(경기,전국관), 시청각교육실, 23인 순국묘지, 23인 상징조각물, 3.1 정신교육관, 3.1 운동순국기념탑, 제암교회, 교회사택
  • <관광지 특성>
    • 3.1운동에 참여했던 이 고장 선열들의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한 기념관
  • <행사 및 프로그램>
    • 문화해설사 - 한국어, 일본어


수원고읍성
  • 수원고읍성
  • ㆍ위치 :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산1
  • ㆍ문의 : 1577-420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수원고읍성 터
      - 높이 약 2.5m, 길이 약 540m, 너비 약 2∼2.8m
  • <관광지 특성>
    • -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까지 수원지역의 행정 중심지가 있던 곳으로 현재 융·건릉이 자리하고 있음
      - 경기도 기념물 제93호
      - 실제로 현존하는 성터에서 고려시대의 자취는 융릉의 북쪽 산 정상부에 남은 성벽의 일부로 기왓조각이 발견되고 있음


당성
  • 당성
  • ㆍ위치 :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구봉산(九峰山)에 있는 산성
  • ㆍ문의 : 1577-4200 / 010-5031-1920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2643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당성 체험농장 캠프
      예약 인터넷 예약 - http://cafe.naver.com/dangsungcamp/
      ☎010-5031-1920
      캠핑장 비용 카페회원 - 1박: 25,000원 (2박 40,000원)
      카페 미가입이나 당일 방문시 - 1박 당 30,000원

      프리미엄 사이트: 밤숲사이트 M1,M2
      2박 이상 예약 가능하며 연박할인없음

      방문자 1인당 5,000원
      오는 길 네비게이션에 한국효소 치고 정문 맞은편 산길 입구(간판 당성체험농장(밤나무농장))
      당성이라는 두글자 나무팻말을 보고 올라가시면 당성사적비(화성당성)로...
      신흥사길로 들어서면 신흥사로 가게 됨.
      * 동계 강설시 자연 눈썰매장 운영
  • <관광지 특성>
    • 삼국시대의 산성으로 소재지인 남양은 처음에는 백제의 영역이었다가 한때 고구려가 점령하여 당성군(唐城郡)이라 하였으며, 신라에 편입된 이후로 당항성(黨項城)이라고 불렀음.
      신라 경덕왕 때는 당은군이 되어 성을 축조하고 황해를 통하여 중국과 교류하는 출입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신라 후기에는 당성진이 설치되어 청해진과 함께 신라 해군의 근거지로 중요시되어 왔음. 실제 성내에서는 각종 삼국시대 토기편과 자기편, 와편 등이 채집되어 왔으며 성내의 가장 낮은 평지에서는 1개의 추정저수지와 조선시대 건물지로 우물지 등이 조사되었음
      - 사적 제217호


화성 마하리 백제 고분군
  • 화성 마하리 백제 고분군
  • ㆍ위치 : 화성시 봉담읍 마하리 산 40 외 (상방길 68 일원)
  • ㆍ문의 : -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면적 76,394㎡로 고분군
      고분의 형태는 널무덤(목관묘), 덧널무덤(목곽묘), 돌덧널무덤(석곽묘)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출토유물은 유리제·구슬·철기류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토기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일반 시민들이 막상 가서 보면 표지판이나 설명 등이 거의 없고 황량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 <관광지 특성>
    • 서기 200∼400년대 초반까지의 초기백제 생활상을 밝힐 수 있는 대규모 고분단지
      당시의 묘제와 토기의 변천과정, 편년 연구 및 한강유역에 한정되었던 초기 백제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유적으로 평가되는 곳
      - 사적 제451호


남양 홍씨묘역
  • 남양 홍씨묘역
  • ㆍ위치 : 화성시 서신면 홍법리 산30번지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 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묘역은 봉분 11기, 문인석 10기, 동자석 2기, 망주석 10기, 묘비 4기, 상석 5좌, 향로석 5좌, 신도비 5기로 이루어져 있다.
  • <관광지 특성>
    • 남양 홍씨는 계통이 다른 '당홍'과 '토홍'으로 구분되는데, 이 묘역은 고려 때의 선행을 시조로 하는 '토홍'의 후손들이 매장된 곳임
      조선중기에 조성된 홍언필, 홍형, 홍담, 홍진도 등과 관련한 남양 홍씨 묘역


남이장군묘
  • 남이장군묘
  • ㆍ위치 : 화성시 비봉면 남전리 산145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 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현재 묘역에는 장군과 부인이 합장되어 있고 봉분은 2기이며, 봉분 아랫부분은 둘레석이 둘러져 있다. 묘 앞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고, 좌우에는 문인석과 망주석이 1쌍 씩 있다.
  • <관광지 특성>
    • 조선 초기의 무신인 충무공 남이(1441∼1468) 장군의 묘소
      남이장군은 세조 3년(1457)에 무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조의 총애를 받으며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나 1468년 예종이 즉위하자 유자광의 모함으로 역모를 꾀한다하여 28세에 처형당하였음
      - 경기도 기념물 제13호


백천장 선생묘
  • 백천장 선생묘
  • ㆍ위치 : 화성시 태안읍 기안리 산7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그의 묘는 최근 새롭게 단장하여 고려 후기 무덤 양식이 남아 있지 않지만 조선 순조 13년(1813)에 세운 묘비와 그 즈음에 세워진 것으로 보이는 장명등과 문인석이 있다. 묘역의 오른쪽 북쪽으로 약 50m 지점에 수원 백씨 시조의 사당이 있고, 묘역의 진입로에 1975년에 세운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근처 길가에 세우던 비)가 있다.
  • <관광지 특성>
    • 고려말기의 문신이자 수원백씨의 시조인 송계 백우경의 후손 백천장의 묘
      백천장 선생은 고려말 진사로 문과에 급제한 후 정당문학 등을 역임하고 원나라로 유학을 가서 높은 벼슬을 지냈으며, 나이가 들어 귀국한 뒤 수성백(隨城伯)에 봉해져 재상을 지냈음
      - 경기도 기념물 제86호


서거정 선생묘
  • 서거정 선생묘
  • ㆍ위치 :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47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묘소는 본래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에 있었는데 도시계획으로 1975년 이장하여 현재의 위치에 모셔졌다.
      왕림휴게소 건너편 서거정 선생의 신도비가 있음.
  • <관광지 특성>
    • 서거정 선생(1420~1488)은 조선 전기의 명신이자 문장가로써 당시 국가의 공문서와 외교문서의 격식이 대부분 그의 손에서 나왔고, 조선시대의 기본법전으로 통치의 원칙이 된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에도 참여


신빈김씨묘
  • 신빈김씨묘
  • ㆍ위치 : 화성시 남양동 산 131-17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신빈 김씨의 묘역은 일반 사대부의 묘역을 따르지 않고 왕실의 원묘(園墓)를 따르고 있다. 3개의 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묘역의 가장 윗부분에는 곡장이 둘러쳐져 있는 가운데에 높이 2.2m, 둘레 24m의 봉분과 상석(床石), 혼유석(魂遊石), 향로석(香爐石)이 위치해 있다. 가운데 부분에는 장명등(높이 2m)과 문인석(높이2.5m) 2기가 설치되어 있다. 장명등에는 연꽃과 난초의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문인석은 복두에 공복을 입은 모습으로 몸체에 비해 귀가 상당히 큰 것이 특징이다. 묘역의 동남쪽에 신빈 김씨의 행적을 적은 묘표가 세워져 있다.
  • <관광지 특성>
    • 조선 세종의 후궁 신빈 김씨(1404~1464)의 묘로서 신빈김씨는 어려서부터 아름답고 덕이 있었으며 12세에 궁에 들어가 세종을 섬겼음
      자손으로는 계양군, 의창군, 밀성군, 익현군, 영해군, 담양군 등이 있음
      - 경기도 기념물 제153호


홍사용묘역 홍사용 문학관
  • 홍사용묘역·홍사용 문학관
  • ㆍ위치 : 화성시 동탄면 석우리 산77·화성시 동탄면 석우동 64
  • ㆍ문의 : 031-8015-088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묘소 입구에는 ‘우리문학기림회"에서 세운 안내석이 위치해 있다.
      홍사용 문학관
      제 1전시관, 제 2전시관, 추모의 방으로 이루어짐.
      - 휴관일 : 매주 월요일 / 명절(설연휴, 추서연휴 등) /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여 정하는 날
      - 관람시간 : 오전9시 ~ 오후6시(입장 오후 5시30분까지)
  • <관광지 특성>
    • 「나는 왕이로소이다」의 작가인 노작 홍사용의 묘로 화성시 향토유적 제14호
  • <행사 및 프로그램>
    • - 홍사용 문학관의 행사 및 프로그램
      - 노작 문학제, 문예창작교실, 연극동아리활동, 청소년 문학교실/캠프, 문학현장체험 등 홍사용의 삶과 일생과 한국근대시사와 관련된 자료, 노작문학상과 추도사, 홍사용의 정신, 토월회, 노작 홍사용 시, 홍사용 문학세계와 관련된 자료들이 전시


우성전,우하영선생 묘역
  • 우성전,우하영선생 묘역
  • ㆍ위치 : 화성시 매송면 숙곡리 산 78-1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 담당 : 031-369-3129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 우성전선생 묘역 - 묘역은 부인 양천허씨와 쌍분으로 되어있고 묘비1기 상석1기 망주석2기로 되어 있으며 이 묘역 입구 산협에 후배 실학자 성호 이익이 비문을 지은 신도비 1기가 있다.
      - 우하영선생 묘역 - 묘는 부인 평산 신씨와 쌍분을 이루고 있다.
  • <관광지 특성>
    • 조선 선조 때 학자·문신·의병장으로 허균의 매형이며 이황의 문인인 추연 우성전과 그의 직계 7대손인 취석실 우하영 선생의 묘역


수촌교회
  • 수촌교회
  • ㆍ위치 : 화성시 장안면 수촌리 674-1
  • ㆍ문의 : 031-351-2161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재담당 : 031-369-2643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수촌교회 옆에 원래의 초가 교회가 있다. 초가 교회의 규모는 정면 7.33m·측면 4.93m이며, 마루·방 2개·부엌·현관 용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 <관광지 특성>
    • 1905년 교인 김응태의 주도로 정창하의 집에서 7명이 예배를 본 것을 시작으로 1919년 3·1운동 때는 주민들과도 독립만세운동을 계획, 저항운동을 펼침
      이 와중에 일본군에 의해 수촌교회도 전소된 뒤 현재 위치로 이전함
      - 화성시 향토유적 제9호


남양향교
  • 남양향교
  • ㆍ위치 : 화성시 남양동 335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644 / 1577-420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현재의 위치로 옮겨지을 당시 향교 건물은 대성전, 양무,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 내삼문, 홍살문, 교직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현재는 대성전, 내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외삼문, 교직사, 홍살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양향교는 크게 두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향영역과 강학영역이 그것이다. 제향영역은 대성전과 내삼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강학영역은 명륜당, 동재, 서재 및 외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 <관광지 특성>
    •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34호로 지정되어 있는 남양향교는 화성 최초의 교육기관으로 경기도 지방의 선비들과 백성들을 교육시킬 목적으로 1397년(태조 6) 남양부 음덕리면 역골에 건립되었다가 1873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짐
  • <행사 및 프로그램>
    • 춘계 석전대제 봉행


안곡서원
  • 안곡서원
  • ㆍ위치 : 화성시 서신면 상안리 585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644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현재 안곡서원은 6칸의 사우와 신문(神門), 동서협문(東西夾門), 강당 4칸 그리고 홍살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우는 정면 6.36m,측면 4.25m 규모이며 연등천장의 익공집에 맞배지붕 건물로 단촐하지만 엄숙함을 느끼게 하는 건물이다. 강당은 정면 5.95m, 측면 3.8m의 규모로 팔작지붕에 한식기와를 얹은 민도리 집으로 중앙에는 마루가 있고 양쪽에 협실이 있다. 내부에는 ‘안곡서원중건기’, ‘안곡서원중건상량문’ 등의 현판이 걸려있다. 주로 서원의 행사나 유림들의 회합, 학문이나 예절 등을 강론하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안곡서원에서는 지금도 매년 문중과 인근 지역의 유림들이 모여 향사를 지내고 있다.
  • <관광지 특성>
    • 사설교육기관이자 향촌자치 운영기구인 서원이 화성시에는 모두 3개가 설립되었다고 하는데 명고서원과 매곡서원은 소멸되고 현재는 안곡서원만 남아 조선시대 화성지역 서원의 모습을 보여줌
  • <행사 및 프로그램>
    • 매년 문중과 인근 지역의 유림들이 모여 ‘향사’ - 매년 9월 5일


정용래가옥
  • 정용래가옥
  • ㆍ위치 :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8 (제부도 가는 길에 위치)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07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19세기 말에 지어진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초가집으로 정용채 가옥의 바로 앞에 자리하고 있어 정용채 가옥과 대조를 이룬다. 서쪽의 낮은 산줄기를 등에 지고 동쪽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건물의 평면은 크게 안채공간과 사랑채 공간으로 나뉘는데 ‘ㄱ"자형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 및 행랑채가 모여서 경기도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 <관광지 특성>
    • - 화성 정용채가옥 아래쪽에 있는 초가집
      - 중요민속자료 제125호


정용채가옥
  • 정용채가옥
  • ㆍ위치 : 화성시 서신면 궁평리 109 (제부도 가는 길에 위치)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07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솟을 대문에는 1887년(고종 24)에 문을 세웠다고 되어 있으나 안채는 이 문보다 약 50년 더 앞선 가구기법을 보이고 있어 처음 지어진 시기를 19세기 초로 추측하고 있다. 50간이 넘는 대가로 안채, 사랑채, 바깥채, 안행랑채, 대문간채까지가 모두 잘 보존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평면형태가 '月'자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나즈막한 동산이 둘러있는 명당 터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 잡고 있는 큰집이다.
      ※ 위 문화재는 일반적으로 관람이 가능하나, 소유주 등의 개인적 사정으로 관람이 제한될 수도 있다. (소유 및 관리자 : 정융구)
  • <관광지 특성>
    • - 정용채 가옥은 집을 마주보고 있는 안산이 나락을 쌓아둔 노적가리를 닮은 형상을 하고 있어 누대로 재복을 누린다는 명당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형적인 양반가옥의 모습을 보이는 주택
      - 중요민속자료 제124호


정원채고가
  • 정원채고가
  • ㆍ위치 : 화성시 송림로92번길 13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07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원래는 행랑채 등 많은 부속 건물이 있는 규모가 큰 집이었으나 현재 안채와 사랑채 대문간만이 남아 있다. 안채는 경기도 지방에서 흔히 보이는 ‘ㄱ"자형 골격을 지니면서 안방 옆으로 다시 작은 대청과 건넌방을 배치한 독특한 평면 구성을 보이고 있다.
  • <관광지 특성>
    • - 정원채 고가는 평면구성이나 구조기법의 변화에서 조선후기의 건축 특색을 살필 수 있는 건물임
      - 경기도 민속자료 제6호


홍승인고가
  • 홍승인고가
  • ㆍ위치 : 화성시 정남면 문학리 628등 5필지
  • ㆍ문의 : 화성시 문화관광과 문화시설담당 : 031-369-2070
  • ㆍ홈페이지 : 홈페이지바로가기
  • <이용안내>
    • 안채와 사랑채가 모두 ㄱ자형이며, 전체로는 ㅁ자 평면을 이루고 있고, 홍승인 고가의 두드러진 특징은 긴 사랑채의 분합문과 옆면에 있는 정교한 띠살창, 협문 등으로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것이다. 
  • <관광지 특성>
    • - 이 가옥은 경기도 지방 부농의 전통적인 주거 생활을 보여주는 가옥
      - 문화재자료 제74호

퀵메뉴